top of page

일반 게시판

공개·회원 4명

집단토론(Group Discussion)

집단토론 모의과제는 지원자들이 협업 능력, 의사소통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음은 회원님들에게 도움이 되실 집단토론 모의과제 예시와 답안을 제공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모의과제 내용]


과제 주제

XYZ 회사의 신제품 개발 전략


배경 정보

XYZ 회사는 최근 스마트 가전제품 분야에서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이번 신제품은 AI 기반의 스마트 냉장고로, 소비자들의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회사는 이 신제품의 개발 방향과 주요 기능, 목표 시장, 마케팅 전략을 결정하기 위해 팀별 토론을 진행합니다.


토론 주제

  1. 신제품의 주요 기능 결정

  2. 목표 시장 설정

  3. 마케팅 전략 수립

  4. 예상되는 도전 과제와 해결 방안


[집단토론 진행 예시]

팀 구성

  • 참여자 1(팀장)

  • 참여자 2

  • 참여자 3

  • 참여자 4


[집단토론 예시]

팀장(참여자 1):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의 토론 주제는 XYZ 회사의 AI 기반 스마트 냉장고 개발 전략입니다. 먼저, 신제품의 주요 기능에 대해 논의해보겠습니다. 각자의 의견을 들어볼까요? 참여자 2부터 시작해 주세요."

참여자 2: "저는 이 스마트 냉장고에 자동 식품 관리 기능이 포함되었으면 합니다. 냉장고 내부의 식품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유통기한이 가까워지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는 기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참여자 3: "좋은 생각입니다. 저는 추가로 AI 기반 레시피 추천 기능을 제안합니다. 냉장고에 있는 재료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만들 수 있는 요리를 추천해주는 기능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참여자 4: "맞아요. 저는 에너지 절약 모드도 중요한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냉장고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에너지 절약 모드를 활성화하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팀장(참여자 1): "모두 좋은 의견입니다. 그러면 주요 기능으로 자동 식품 관리, AI 기반 레시피 추천, 에너지 절약 모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리하겠습니다. 다음은 목표 시장 설정입니다. 어떤 시장을 타겟으로 해야 할까요?"

참여자 2: "저는 주로 30-40대의 바쁜 직장인들을 목표 시장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들은 시간 절약과 편리함을 중요하게 생각하니까요."

참여자 3: "동의합니다. 또한, 스마트 홈 기기에 관심이 많은 젊은 세대도 중요한 타겟이 될 수 있습니다."

참여자 4: "저는 추가로 환경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도 목표 시장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에너지 절약 기능이 그들에게 어필할 수 있을 것입니다."

팀장(참여자 1): "좋은 의견입니다. 그러면 목표 시장은 30-40대 직장인, 스마트 홈 기기에 관심이 많은 젊은 세대, 환경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로 설정하겠습니다. 다음은 마케팅 전략입니다. 어떻게 신제품을 홍보할까요?"

참여자 2: "소셜 미디어와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이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특히 요리와 관련된 인플루언서를 통해 제품을 홍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참여자 3: "맞아요. 저는 추가로 제품 체험 이벤트를 제안합니다. 잠재 고객들이 직접 제품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참여자 4: "동의합니다. 그리고 환경 보호를 강조하는 캠페인을 통해 에너지 절약 기능을 홍보하면 좋겠습니다."

팀장(참여자 1): "좋은 전략들입니다. 그러면 소셜 미디어와 인플루언서 마케팅, 제품 체험 이벤트, 환경 보호 캠페인을 마케팅 전략으로 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예상되는 도전 과제와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논의해 봅시다."

참여자 2: "기술적인 문제가 가장 큰 도전 과제일 것 같습니다. AI 기술을 안정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여자 3: "저는 가격이 또 다른 도전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가격 때문에 소비자들이 구매를 망설일 수 있습니다."

참여자 4: "그렇군요. 저는 경쟁사의 반응도 중요한 도전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들이 비슷한 제품을 출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팀장(참여자 1): "좋습니다.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가격 문제는 다양한 가격대를 설정하거나 초기 구매자들에게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경쟁사 대응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시장 분석과 차별화 전략이 필요합니다."

참여자 2: "동의합니다. 그렇게 하면 주요 도전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여자 3: "저도 동의합니다."

참여자 4: "저 역시 동의합니다."

팀장(참여자 1): "좋습니다. 오늘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신제품 개발 전략을 수립하겠습니다.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평가 포인트]

  1. 의견 경청: 모든 참여자의 의견을 경청하고, 균형 잡힌 토론을 이끌어 내는 능력.

  2. 논리적 사고: 문제를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현실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능력.

  3. 협업 능력: 팀원들과 협력하여 효과적인 전략을 도출하는 능력.

  4. 의사소통 능력: 명확하고 설득력 있게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는 능력.

  5. 리더십: 팀을 이끌고, 토론을 효과적으로 주도하는 능력.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집단토론을 진행하면 지원자의 다양한 역량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며 협력하는 태도와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입니다.

26회 조회

한국역량평가센터(KICA)
​핵심역량 임파워링 전문기관

대표  김우택    사업자등록번호  558-16-00209     상호  어드바이저리인터내셔널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5-서울마포-1694호
대표전화  0507-1379-0087   
Fax  02-501-2257    E-mail  advisory.korea@gmail.com   주소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12, 1202호

© Advisory International (KICA) All Rights Reserved 

  • Instagram
  • Facebook
  • Twitter
bottom of page